본문 바로가기

IT생활

NTFS 윈도우 파티션을 ntfs-3g로 읽고/쓰기

아래내용은 10.2기준으로서 현재 10.3부터는 이기능이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용하실때는 root모드에서 이용이 가능합니다.

원래 linux에서는 윈도우 파일포맷인 NTFS를 읽기만 하고 쓸 수는 없었습니다.
그러나
ntfs-3g
을 이용하면 윈도우 파일포맷인 NTFS를 읽고 /쓰기가 가능하여 윈도우와 Linux의 파일 공유가 훨씬 용이해 집니다.

설치할 파일들입니다.

fuse-2.6.1-1.ccj0.i586.rpm
ntfs-3g-1.0-2.ccj1.i586.rpm

또는, Smart에서 아래의 repository 를 추가하고 위 팩키지를 설치해 줍니다.

http://software.opensuse.org/download/filesystems/openSUSE_10.2/

Smart로 현재 설치가능한 파일버젼은 다음과 같습니다.
.fuse-2.6.5-3.1@i586

.ntfs-3g-1.328-2.2@i586

이제 시작과 함께 자동으로 ntfs-3g로 마운트 하기위해  root 모드에서 "/etc/fstab" 을 수정해주도록 합니다.

별도로 자동마운트된 윈도우 ntfs파일드라이브를 언마운트 할필요는 없습니다.
참고로 간단한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마운트와 언마운트를 쉽게할 수 있습니다.

"System--> File System-->KDskFree" 실행후 적용할 윈도우 드라이브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해 봅니다.
메뉴에서 마운트와 언마운트 메뉴가 나오죠. 쉽게 설정가능  할 것입니다.


저는 "/windows/D" 드라이브를 적용하여 사용 할 것 입니다.
이제 시작과 함께 자동으로 ntfs-3g로 마운트 하기위해  root 모드에서 "/etc/fstab" 을 수정해주도록 합니다.

*아래는 수정하기전 "fstab" 원본 파일내용 입니다.

/dev/hdd6            /                    ext3       acl,user_xattr        1 1
/dev/hdd7            /home            ext3       acl,user_xattr        1 2
/dev/hdc1            /windows/C     ntfs       ro,users,gid=users,umask=0002,nls=utf8 0 0
/dev/hdd2   /windows/D  ntfs ro,users,gid=users,umask=0002,nls=utf8 0 0
/dev/hdc5     /windows/E     ntfs  ro,users,gid=users,umask=0002,nls=utf8 0 0
/dev/hdd5            swap              swap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sysfs                  /sys               sysfs      noauto                0 0
debugfs               /sys/kernel/debug    debugfs    noauto                0 0
usbfs                  /proc/bus/usb        usbfs      noauto                0 0
devpts                 /dev/pts             devpts     mode=0620,gid=5       0 0
/dev/fd0               /media/floppy        auto       noauto,user,sync      0 0

*ntfs-3g를 이용하여 윈도우 파일포맷인 NTFS를  마운트 하기위한 설정 입니다.

/dev/hdd6            /                        ext3       acl,user_xattr        1 1
/dev/hdd7            /home                ext3       acl,user_xattr        1 2
/dev/hdc1            /windows/C         ntfs       ro,users,gid=users,umask=0002,nls=utf8 0 0
/dev/hdd2        /windows/D       ntfs-3g    locale=ko_KR.utf8 0 0
/dev/hdc5            /windows/E         ntfs       ro,users,gid=users,umask=0002,nls=utf8 0 0
/dev/hdd5            swap                  swap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sysfs                  /sys                 sysfs      noauto                0 0
debugfs              /sys/kernel/debug    debugfs    noauto                0 0
usbfs                 /proc/bus/usb        usbfs      noauto                0 0
devpts               /dev/pts             devpts     mode=0620,gid=5       0 0
/dev/fd0             /media/floppy        auto       noauto,user,sync      0 0


마지막으로 root 모드에서 X-win으로 부팅후
위에서와 같이 KDskFree를  실행하여
"
/windows/D" 드라이브를 마운트 시킵니다.

"Ctrl + Alt + ← "
키로 사용자 모드로 재부팅 해본후 테스트 복사를 해봅니다.

드디어 /windows/D 디렉토리에 윈도우 하드가 마운팅되고 자유로이 읽고 쓰기가 가능합니다.
파일을 아무것이나 복사해보세요..
( 사용은 root모드에서 하셔야 됩니다.)

참조
http://en.opensuse.org/NTFS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AQ 3xxx 시리즈 배터리 교체하기  (0) 2007.08.20
메모리카드 포멧에 대한글  (0) 2007.08.18
MATE 수신기와 블루투스 수신기 설정셋팅  (0) 2007.08.18
nvidia driver up  (0) 2007.06.24
speed up firefox  (0) 2007.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