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xp와 리눅스간 멀티부팅을 이용중 나름의 사정으로 grub가 삭제가 되는 황당한 사건을 겪어 보셨나요... 수세리눅스를 초창기에 이용중 이런 황당한 일을 겪었을때 본인은 수세리눅스를 처음부터 재설치하여 xp와 SUSE linux를 같이 이용을 하곤했습니다.
최근에는 Acronis Trueimag설치후 Secure Zone을 만들어 백업을 이영역에 저장시킨후 복구영역활성화를(부팅시 F11) 시키는 과정에서 이놈이 기존 grub를 삭제하고 그자리를 차지하는것 같더군요.. 그래서 리눅스부팅이 않되어 최근에 이방법으로 복구를 시켰습니다.
[MBR에 grub재설치방법]
본인의 etc/grub.conf파일을 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setup --stage2=/boot/grub/stage2 (hd0) (hd1,5)
설명: 리눅스에서의 첫번째 HDD는 0, 두번째 HDD는 1 입니다.
hd1,5 --> 두번째 HDD의 5번째 파티션에 리눅스가 설치됨.
hd0 --> 첫번째 HDD에 grub을 설치하였음.
opensuse linux cd를 준비합니다.
1. 설치 시디로 Rescue System으로 부팅
2. Rescue login: root
root로 로그인
3. Rescue~ # grub
grub 실행 후 grub shell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
4. grub>root (hd1,5)
hd1,5 -> 두번째 HDD의 5번 파티션에 리눅스가 설치되어 있음.
Linux가 설치되어 있는 HDD나 파티션은 자신의 시스템에 맞게 수정.
정상적으로 Linux가 설치된 HDD의 파티션이 root로 설정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옵니다.
(몇번째 Partition인지 모른다면 1부터 숫자를 늘려가면서 아래의 메세지가 출력될때까지 계속 해봐도 됩니다.)
"Filesystem type is reiserfs, partition type 0x83"
5. grub>setup (hd0)
MBR에 GRUB를 설치할 HDD, 대부분의 경우 첫번째 HDD입니다.
6. grub>quit
grub shell 종료
7. Rescue~ # shutdown -r now
재부팅
4,5번에서 유의할 것이 있는데, 일반적인 Linux에서의 HDD와 파티션 표기 방법과 GRUB에서 사용하는 표기 방법이 좀 다른데, hd0, hd1, hd0,5, hd1,9 이런 식으로 표현합니다.
GRUB에 관한 자세한 내용이 있는 블로그입니다.
http://blog.naver.com/kdybe.do?Redirect=Log&logNo=40007438903
최근에는 Acronis Trueimag설치후 Secure Zone을 만들어 백업을 이영역에 저장시킨후 복구영역활성화를(부팅시 F11) 시키는 과정에서 이놈이 기존 grub를 삭제하고 그자리를 차지하는것 같더군요.. 그래서 리눅스부팅이 않되어 최근에 이방법으로 복구를 시켰습니다.
[MBR에 grub재설치방법]
본인의 etc/grub.conf파일을 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setup --stage2=/boot/grub/stage2 (hd0) (hd1,5)
설명: 리눅스에서의 첫번째 HDD는 0, 두번째 HDD는 1 입니다.
hd1,5 --> 두번째 HDD의 5번째 파티션에 리눅스가 설치됨.
hd0 --> 첫번째 HDD에 grub을 설치하였음.
opensuse linux cd를 준비합니다.
1. 설치 시디로 Rescue System으로 부팅
2. Rescue login: root
root로 로그인
3. Rescue~ # grub
grub 실행 후 grub shell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
4. grub>root (hd1,5)
hd1,5 -> 두번째 HDD의 5번 파티션에 리눅스가 설치되어 있음.
Linux가 설치되어 있는 HDD나 파티션은 자신의 시스템에 맞게 수정.
정상적으로 Linux가 설치된 HDD의 파티션이 root로 설정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옵니다.
(몇번째 Partition인지 모른다면 1부터 숫자를 늘려가면서 아래의 메세지가 출력될때까지 계속 해봐도 됩니다.)
"Filesystem type is reiserfs, partition type 0x83"
5. grub>setup (hd0)
MBR에 GRUB를 설치할 HDD, 대부분의 경우 첫번째 HDD입니다.
6. grub>quit
grub shell 종료
7. Rescue~ # shutdown -r now
재부팅
4,5번에서 유의할 것이 있는데, 일반적인 Linux에서의 HDD와 파티션 표기 방법과 GRUB에서 사용하는 표기 방법이 좀 다른데, hd0, hd1, hd0,5, hd1,9 이런 식으로 표현합니다.
GRUB에 관한 자세한 내용이 있는 블로그입니다.
http://blog.naver.com/kdybe.do?Redirect=Log&logNo=40007438903
[winxp +
linux] 멀티부팅시 linux grub 삭제하기
[방법1]
1. 윈도우 설치 CD로
부팅하신 후 복구(R)를 선택하십시요.
2. 그러면 복구 콘솔을 사용하겠느냐는 질문이 나오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3. 그 다음 Windows나 WINNT를 복구 설치하겠느냐는 질문이 또 나옵니다.
이것도 예스.
4. 커맨드 프롬프트 상태가 됩니다. 여기서 "fixmbr" 이라는 명령을 입력
합니다. 거의 즉시 작업이 끝납니다.
5. reboot 하시면 grub
없이 윈도우로 부팅 됩니다.
[방법2]
윈98 시디나 도스부팅 시디[3.5플로피 디스크포함]로 부팅하고 도스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을
줍니다.
C:>fdisk /mbr
;부팅시디나 디스켓에 fdisk 유틸이 있어야 겠죠!!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ule에서 LowID 접속을 HighID로 접속하기 (0) | 2007.10.22 |
---|---|
wine설치 및 활용 (0) | 2007.10.22 |
one-Click 으로 코덱설치하기... (0) | 2007.10.07 |
Smart gui로 SuSE Linux 패치 및 업그레이드 하기..... (0) | 2007.10.06 |
오른쪽 마우스사용금지 플러그인을 무력화 시켜볼까? (0) | 2007.08.30 |